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사진제공=AP


[한국레저신문 김구식기자]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100주년이 되는 2030년 월드컵 대회가 유럽과 아프리카 남미 등 3대륙 6개국에서 열린다.

공동 주최국은 유럽의 스페인과 포르투갈, 아프리카의 모로코 등 3개국으로 결정됐지만 개막전 3경기는 아르헨티나와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남미 3개국에서 열린다.

5일 CNN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FIFA는 4일(현지시간) 열린 평의회에서 유럽의 스페인과 포르투갈, 아프리카의 모로코를 2030년 월드컵 공동주최국으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또 2030년 월드컵 본선 첫 3경기를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에서 진행하기로 했다. 이는 제1회 축구 월드컵이 지난 1930년 남미 우루과이에서 열렸다는 점을 기념하기 위한 조치다.

이처럼 축구 월드컵 경기가 3대륙 6개국에서 치러지는 것은 100년의 월드컵 축구 역사상 처음이다.

사진제공=AP


당초 2030 월드컵을 앞두고 개최지 후보로는 두 개의 국가 그룹이 경쟁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 그리고 두 나라와 가까운 모로코가 한 팀으로 유치에 나섰고, 역사상 첫 월드컵 개최지인 우루과이와 함께 아르헨티나와 파라과이가 한 팀으로 월드컵 100주년 기념을 내걸고 월드컵 유치를 노렸다.

FIFA는 개최국을 스페인과 포르투갈, 모로코로 선정하면서도 월드컵 100주년 기념의 역사를 축하하기 위해 남미 국가들까지 아우를 수 있는 해결책을 내놓았다. 바로 월드컵 첫 세 경기를 유치를 추진한 우루과이, 파라과이, 아르헨티나가 홈에서 치를 수 있도록 하게 된 것이다.

잔니 인판티노 회장은 "분열된 세계에서 FIFA와 축구는 하나가 되고 있다"면서 "FIFA 평의회는 2030년 월드컵을 모로코와 포르투갈, 스페인에서 공동개최하는데 만장일치로 동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아프리카와 유럽이라는 두 대륙이 축구 뿐 아니라 독특한 사회 문화적 결속을 보여주기 위해 하나가 되었다"면서 "이는 평화와 관용, 포용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했다.

월드컵 경기가 열리는 6개국은 모두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해 48개국이 겨루는 토너먼트에 참여한다.

월드컵이 6개국에서 분산해 열릴 경우 경기장 등에 대한 추가 투자가 거의 필요없어 경비 절감에 유리하며, 월드컵 붐을 확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개최국이 많아지는 만큼, 기존 한 국가에서 진행될 때보다 경기 진행 과정이나, 경기 진행을 위한 이동 거리도 늘어날 수 있을 전망이다.

오는 2026년 열리는 북중미 월드컵은 사상 최초로 본선 참가국이 48개국으로 확대되어 미국, 캐나다, 멕시코 3개국이 공동 개최한다.

한편, 국제 스포츠 산업의 큰손으로 부상한 사우디아라비아가 2034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축구대회 단독유치를 추진한다.

사우디 축구연맹은 4일(현지시간) 공식성명을 통해 "사우디에서 진행 중인 사회 경제적 변신과 뿌리 깊은 축구에 대한 열정의 영감을 끌어내 세계 수준의 대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우디의 단독 축구대회 유치 선언은 최근 FIFA가 2034년 대회 개최지로 아시아축구연맹(AFC) 회원국을 거론한 직후 나왔다.